
목차 평화상조란 평화상조란 가톨릭 서울대교구에서 운영하는 종합 장례서비스 업체로 평화누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성당을 다니시는 분들이시라면 한번쯤 평화상조에 대해 들어보셨을 텐데요. 가끔씩 본당으로 홍보를 왔던 기억이 나는데, 저희 부모님께서는 두분 앞으로 가입을 해두셨더라구요. 몇번의 고비를 넘기시기는 했지만, 매번 잘 이겨내셨던 터라 생각지 못했는데 갑작스럽게 중환자실에 계시다가 돌아가시는 바람에 경황이 없었는데 아버지가 이전에 가입해 두셨던 평화상조가 있어서 연락을 드렸습니다. 종종 경황없는 유족들 상대로 장례용품에 과도한 비용을 청구하는 곳도 있다는 기사를 보기도 했는데, 가입된 범위내에서 이것저것 신경쓸것 없이 합리적인 상품들로 안내해주셔서 믿고 선택하여 한결 수월했..

목차 [장례미사 예식서 다운로드] ▶ 장례미사 예식서 _성당용 ▶ 장례미사 예식서 _장례식장용 장례미사 예식서 ( 성당용) ※ 입당 행렬 준비. 제대/해설/독서/반주/성가대/복사(2명)/십자가 봉사자(성체분배권자) 준비. 운구 6명 (부득이한 경우 4명) 준비. 1층에서 2층으로 운구 시 다리 쪽부터 이동 . 입당 전후 영구는 제대 십자가를 바라보게 위치 (입당 후 영구 – 영정 - 십자가 순서로 위치). 향과 성수는 근접성을 위해 제대 아래쪽, 영구 가까이 위치 (독서대 아래쪽) ▷ 해설: 지금부터 세상을 떠난 연령 ( )의 장례미사가 봉헌되겠습니다. 주님! 연령 ( )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주님 안에서 세상을 떠난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유가족들의 슬픔을 함..

목차 산골을 할 때에는 산골하는 곳에,납골당에 모실 때에는 납골당에 이르러 유골을 모시고, 분향하고 절을 한 다음,아래와 같이 기도한다. 납골(納骨) : 쇄골한 것을 용기에 담아 납골당에 모시는 것 산골(散骨) : 쇄골한 것을 뿌리는 것 납골(봉안 ) 할 때 드리는 기도 시작기도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사제가 주례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이 세상에서 생명을 주시고저 세상에서 우리를 영원히 다시 살게 하시는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 납골할 때 주례는 유골을 납골당에 모시기 전에 다음의 기도를 한다.+ 형제 여러분,그리스도를 통하여우리를 구원하시는 하느님께서( )의 유해가 봉안되는 이곳을..

목차 화장(火葬) 전 기도 주례는 화장장에 이르러 시신을 사르기 전에 십자성호를 긋고 다음의 기도를 한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형제 여러분,오늘 우리는 정화와 구원의 불길로이 육신을 사르게 됩니다.그러나 우리는 이 교우 ( )가(이)새 육신으로 부활하여주님 앞에 나아갈 것을 확실히 믿습니다.한없이 자비로우신 주님께서타오르는 이 불꽃으로우리의 마음을 깨끗이 하고이 교우의 죄를 모두 씻어주시도록간절히 청합시다.+ 영원한 생명의 주인이신 하느님,그리스도를 통하여저희에게 새 생명을 약속하시고죽음에서 부활하게 하셨으니이 교우를 깨끗이 하여주시고;생명의 은총을 내리시어주님의 낙원으로 이끌어주소서.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독서주례나 참석자 가운데 한 사람..

목차 [기도문 다운로드] 천주교 장례식 3일째 -출관예절 (발인) 준비 및 절차 서울대교구 연령회 연합회 가이드① 날이 밝으면 유족들은 출관 준비를 한다. ② 영구차가 주차할 공간을 미리 확보한다. ③ 영정을 모시고 가는 선두 차량도 미리 선정해 준비한다. ④ 연령회의 주관으로 출관예절을 시작한다. ⑤ 출관예절이 끝나면 운구를 시작한다. ⑥ 영정을 모시는 일은 친족들이 하는 것이 일반 적이다. ⑦ 영구(靈柩)가 차에 오르면 장례미사를 드릴 성당 으로 향한다.(이때에도 기도를 드리며 가는 것이 좋다.) ⑧ 장례미사를 거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사도예 절(고별식)을 한 후 장지로 향한다. 출관절차 (발인) 와 기도문 사제가 주례일 때에는 장백의나 중백의 위에 흰색이나 보라색 또는..

목차 [기도문 다운로드] 염습과 입관예절 연령회 가이드염습(상장예식 3장 참조) 그리스도의 지체이며 예수님의 거룩한 성체를 모 셨던 성전과 같은 시신을 염습할 때에는 친히 제 자들의 발을 닦아주셨던 예수님의 겸손하신 모습 을 본받아 경건한 마음으로 임하여야 한다. 염습 이란 시신을 깨끗이 목욕시키고 수의를 입히는 행 위(습:襲)와 수시포, 수의에 싸서 묶는 행위(염:殮) 를 말하며, 염습은 확실한 운명을 확인하기 위해 24시간이 지난 다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입관 봉사자들은 염습 준비물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는지 확인한다.) 입관예절시신을 관에 넣는 의식을 입관이라 한다. ① 연령회 주관으로 입관예절을 바친다. ② 입관이 끝난 후 유족들은 상복을 갖춰 입는다 빈 소 차리고 즉시 ..

목차 현대식 3일장 (종교무관) 종교와 무관하게 한국장례문화 진흥원에서는 설명하는 현대의 장례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3일장을 기본으로 하므로 사망 후 당일로 수시(收屍)를 행하게 되고, 사망한 다음날 습(襲)이 끝나면 바로 소렴을 하고 입관까지 하게 되어 염습의 과정이 2일째 한꺼번에 이루어지고, 3일째 발인을 하게 된다. 이미지 출처: 장례식의 정석 ▶파일다운로드 출처: 한국장례문화 진흥원 ▶장례절차 기본용어운명(殞命) : 숨을 거두는 것임종(臨終) : 운명하는 순간을 지켜보는 것 / 아들, 딸이 곁에서 손발을 잡고 운명(殞命)을 지켜보며 유언을 듣는다. 수시(收屍) :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팔과 다리 등을 가지런히 하는 행위, 시신이 굳기 전에 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