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기도문 다운로드]
성주간 의의와 유래
부활대축일 전의 한 주간 , 이는 사순 시기 마지막 주간, 즉 주님 수난(受難) 성지(聖枝) 주일부터 성토요일까지 부활 전 한 주간을 말한다. 그중에 주님 만찬 성목요일부터 성토요일까지 3일을 성삼일(聖三日)이라 한다.
성주간은 메시아로서의 주님의 예루살렘 입성으로 시작하여 수난하시는 주님을 기억하고 부활하시는 구세주에게 한 걸음 나아가기 위해 설정되었다. 이때는 주님 수난 사건을 전례적으로 기념하는 연중 가장 거룩한 기간이다(갈라 6,14). 그래서 성주간 동안 신자들은 그리스도 생애의 마지막에 일어난 사건을 되새기며, 그 안에서 예수님이 세상을 성부와 화해시킨 파스카의 신비를 경축하고 재현한다. 성목요일 아침에는 주교가 자기의 사제단과 함께 미사를 공동집전하면서 성유(聖油)를 축성하고 저녁에는 만찬미사로 성주간은 활기를 띤다. 이 만찬미사는 다음날의 예식과 필연적인 관계와 명백한 일치를 이루어 성삼일의 서곡을 장식한다. 이 최후의 만찬과 십자가와의 일치는 예식에 잘 드러난다. 그 일치성 때문에 성금요일에 미사를 거행하지 않는다.
성주간은 교회력에 있어 1년 중 가장 의미 깊은 주간이다. 초세기에는 수난의 사건을 기념했기 때문에 '수난주간'(passion week)으로 알려졌으며, 또한 그리스도교에 있어 수난에 대한 관념은 항상 부활에 포함하고 있었기에 '빠스카 주간'(paschal week)으로도 알려졌다. 밀라노 전례에서는, 이 기간 동안 기념되는 사건의 중대성을 암시하기 위해 '권위 있는 주간'(authentic week)으로도 불려졌고 몇몇 지역에서는 성목요일에 죄수들이 사면(赦免)되었기 때문에 '사면 주간'(the week of remission)으로도 불려졌다. 또한 동방교회 신자들은 '구원의 주간'(the week of salvation)으로 불렀다. 이 주간에 교회는 예수의 체포와 수난과 죽음을 기념하며, 모든 의식(儀式)은 슬픔을 표현하나 동시에 하느님이 인간이 되시어 모든 인류의 죄를 대속(代贖)한 엄청난 사랑에 대한 기쁨의 태도도 보여 주고 있다. 성주간에 대해 언급한 최초의 기록은 성 아타나시오(St. Athanasius)의 에서 보여지나 성주간의 기원은 고대 니체아 교회(ante Nicene)가 기념하던 파스카 축제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당시 파스카 축제는 금요일에서 시작하여 부활주일 아침에 끝나는 3일로써 기념되었던 것이다. 4세기에 성목요일이 추가되고 1주일로 연장되어 5-6세기에는 비로소 성주간이 완성되었다. 그 전례규정은 4세기에 열심한 순례자 에테리아(Etheria)가 서방교회에 전해 준 예루살렘에서의 전례형태를 모방한 것이었다. 중세에 와서 성지 행렬, 십자가 경배, 무덤 조배, 새 불과 파스카 초 의식 등 복잡한 전례가 도입되었다.
1951년 교황 비오 12세는 부활 전야제를 재조직하고 1955년 성주간 전례를 폐쇄하였으며 1969년에 성주간 순서가 약간 다시 개혁되었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부활 축제의 근본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부활성야 미사를 도입한 것이다. 성주간의 각 날에는 고유한 전례가 있는데, 성주간이 시작되는 '예수수난 성지주일'에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파스카의 신비를 완성하기 위해 예루살렘에서 입성하신 사실을 기념한다. 그래서 교회는 모든 미사에 있어서 이러한 주의 입성(入城)을 기념하는데, 중심 미사 전에는 행렬이나 혹은 성대한 입당식으로 또 다른 미사 전에는 간단한 입당식으로 이 사실을 기념한다. 행렬은 두 번 할 수 없지만 성대한 입당식은 교우들이 많이 참석하는 미사 전에 두 세 번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이날 미사 중에는 긴 수난복음이 낭독되는데 복음 후에는 보통 때처럼 '그리스도께 찬미'를 말하지 않는다. 성주간 월요일에는 라자로의 누이 마리아가 예수의 발에 값비싼 향유를 부었으며, 예수께서는 그 일이 예수의 장례일을 준비하는 것임을 설명해 주시는 내용의 복음(요한 12:1-11)이 낭독된다. 화요일에는 예수께서 배반당하실 것과 베드로가 부인하리라는 것을 예고하시는 내용의 복음(요한 13:21-23 · 36-38)이, 수요일에는 예수께서 파스카 축제를 지키신 내용의 복음(마태 26:14-25)이 낭독되며 그 밖의 다른 특별한 의식이 거행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성목요일, 성금요일, 성토요일의 성삼일에는 고유한 전례가 거행된다.
주님 수난 성지 주일
주님 수난 성지 주일에 교회는 예수께서 파스카 신비를 완성하기 위하여 예루살렘에 입성한 사건을 기념하는 입당식과, 장차 이루어질 수난과 죽음을 기념하는 수난 복음을 읽는다.
먼저 신자들이 손에 나뭇가지를 들고 성당 앞에 모이면, 사제는 붉은 색 제의를 입고 복사들과 함께 그곳으로 간다. 이때 신자들은 “호산나…” 하며 환호의 노래를 부른다.
그리고 사제는 성수와 향으로 나뭇가지를 축성한 후, 이어 루가 복음(19,28-40)을 낭독한다. 그리고 성당을 향하여 모두 행렬을 시작한 후, “헤브레아 아이들이…”(마태 21,9)라는 노래를 부르며 행렬을 마친다.
▶ 성주간 예절 및 준비
1) 준비
가) 제의실 : 붉은 색 제의, 사제용 성지, 카파, 행렬용 십자가, 향로 및 향그릇, 성수 그릇, 촛대(2), 신자용 성지
나) 주수상 및 독서대: 미사 도구, 수난 복음(3), 낭독자(3)
2) 예루살렘 입성 기념식
가) 행렬 : 사제가 예절 장소로 갈 때, 십자가, 향로, 예절잡이(성수, 성주간 책), 복사(촛불)가 앞서 간다. 이때 성가대는 화답송을 노래한다(마태 21,9).
나) 성지 축성 : 사제는 권고와 인사를 마친 다음, 기도 후 나뭇가지에 성수를 뿌린다. 그리고 책에 분향한 후, 복음을 낭독한다(짧은 강론을 할 수 있음).
다) 성지 행렬 및 입당 : 사제는 복음을 낭독한 후, 향을 피우며 행렬을 시작한다. 그리고 제단에 도착한 후 향을 드린다. 카파를 입었을 때는 갈아입는다. 이때 성가대는 예루살렘 입성을 환영하는 노래를 한다.
3) 미사
가) 미사는 본기도로 시작하며, 독서를 생략하고 수난기만 읽을 수 있다.
나) 수난 복음을 (촛불, 향, 인사 없이) 낭독한다.
성주간 : 월~수요일
성주간 월요일은 라자로의 누이 마리아가 예수님의 발에 값진 향액을 부은 내용(요한 12,1-11)의 복음을 낭독한다. 이때 예수께서는 마리아가 무의식중에 당신 장례의 날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씀하신다.
그리고 성주간 화요일에는 예수께서 배반당하실 것과 베드로가 모른다고 할 것이라는 예언의 말씀(요한 13,21-33. 36-38)을 낭독하며, 성주간 수요일에는 예수께서 파스카 축제를 지키신 내용을 읽는다(마태 26,14-25).
파스카 성삼일 ( 성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파스카 성삼일’은 한 해의 전례주년에서 가장 거룩하고 뜻깊은 기간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부활의 파스카 신비를 기념하는 삼 일 동안을 말한다. 곧 “주님 수난과 부활의 파스카 성삼일은 주님 만찬 저녁 미사부터 시작하여 파스카 성야에 절정을 이루며 부활 주일의 저녁 기도로 끝난다”(「전례주년과 전례력에 관한 일반 규범」, 19항).
‘파스카’는 본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의 종살이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축제였다.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와 아론을 통하여 내려진 주님의 명령에 따라, 이집트를 떠나기 전날 밤 어린 양이나 염소를 잡아 그 피를 문설주에 바른 뒤 허리에 띠를 두르고 쓴나물과 누룩 없는 빵을 먹으며 이집트를 떠날 준비를 하였다. 그날 밤 짐승의 피가 묻어 있는 집은 아무 일도 없었지만, 그렇지 않은 집은 맏아들이 모두 죽는 참변이 일어났다. 이에 놀란 이집트는 이스라엘 백성을 내보낸다. 이렇게 해서 그들은 홍해를 건너 약속의 땅으로 갈 수 있었다(탈출 12,1-42 참조).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의 인도로 이루어진 이 사건을 결코 잊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이 ‘건너감’을 뜻하는 낱말인 파스카(Pascha)를 축제 이름으로 삼았다. 그 뒤 파스카 축제는 민족의 잔치로 자리 잡았다.
구약의 파스카는 신약의 파스카인 부활을 미리 보여 준 사건이다. “그리스도께서는 특별히 당신의 파스카 신비로 인류를 구원하시고, 하느님을 완전하게 현양하는 업적을 이루셨다. 곧 당신의 죽음으로 우리 죽음을 없애시고 당신의 부활로 우리 생명을 되찾아 주셨다”(「전례주년과 전례력에 관한 일반 규범」, 18항).
오늘의 우리는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과 같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다.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이 있었기에 새로운 생명으로 건너갈 수 있게 된 것이다.
파스카 성삼일: 성 목요일 - 성유축성미사, 발씻김 예식(洗足禮), 수난감실
이날은 주교좌 대성당에서 성유 축성 미사가 거행된다. 이때 주교와 사제들의 일치와 결합이 드러난다. 그리고 사제들의 서약 갱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저녁에는 최후 만찬을 기념하는 미사가 지역 공동체별로 거행된다. 여기에는 지역 공동체에서 성무에 임하고 있는 모든 성직자 수도자와 신자들이 함께 참여한다.
발씻김 예식(洗足禮)은 사목상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복음 후에 예식을 행할 수 있다. 이는 예수께서 겸손과 애덕을 가르치기 위해서 열두 제자의 발을 씻기신 것을 새롭게 기념하는 예식(요한 13,1-11; 출애 30,19-20)이다. 이 예식은 교황 비오 12세가 성주간 전례에 도입한 후 행해지기 시작하였다.
수난 감실(受難龕室)에는 만찬 미사 후 사제가 성체를 모신다. 사제가 성체를 모시고 분향하는 동안, 신자들은 ‘지존하신 성체(Tantum ergo)’를 노래한다. 이때 사제는 성체를 모신 다음 돌아와 제단을 벗긴다. 그리고 이어서 다음날 주님 수난 예절이 시작될 때까지 성체 조배를 계속한다.
수난 감실(龕室)은 주님의 묻히심을 드러내기 위한 장소가 아니라, 성금요일의 성체 분배와 병자들을 위해 성체를 보관하는 장소이며, 예수께서 “나와 함께 단 한 시간도 깨어 있지 못하느냐?”(마태 26,40) 하신 말씀에 대한 응답으로서 파스카 신비를 묵상하며 주님과 함께 머물도록 기도하는 곳이다.
▶ 성주간 예절 및 준비
1) 준비
가) 제의실 : 흰색 제의, 복사(6), 십자가, 발씻김 예절 준비(대야, 물, 비누, 수건), 어깨보, 향로(향그릇), 발씻김 예절 선발자
나) 주수상 : 미사 준비, 딱딱이, 다량의 제병
다) 수난 감실 : 감실, 성체 조배 순서 및 기도서
2) 수난 감실 성체 조배
가) 미사를 마친 후 성합은 성체포 위에 모신다. 이때 미리 대기했던 향로 및 십자가잡이가 제의방에서 나온다.
나) 사제는 성체에 향을 드린 후, 수난 감실로 성체를 모신다. 이때도 분향을 한다. 그리고 이어 신자들은 밤샘 성체 조배를 한다.
다) 사제는 제단으로 돌아와 제단을 벗기고 이때 성당 안의 모든 십자가는 자색으로 가린다.
▶ 영상보기 [ 성유축성미사 ]
▶ 영상보기 [ 주님 만찬 성목요일 미사 ]
▶ [ 성목요일 수난감실 성체조배 ]
[가톨릭기도문] 수난감실 성체조배 기도문
[가톨릭기도문] 수난감실 성체조배 기도문
▶ 영상보기 [ 성목요일 수난감실 ] [기도문 다운로드] 수난 감실이란 ( 受難 龕室, Repository) 주님 만찬 성목요일에 축성한 성체를 주님 수난 성금요일 예식에서 분배할 때까지 보관해 두는 제2경
life.mninfo777.com
파스카 성삼일 : 성 금요일
이날은 주님 수난을 기념하는 날이다. 신자들은 금육과 금식으로 재를 지킴으로써 주님의 죽으심과 그 신비 속에 더욱 깊이 참여한다. 이날과 다음날은 오랜 관습에 따라 성사를 집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날 오후 3시에는 예수께서 십자가에 운명하신 것을 묵상하면서 십자가의 길을 하고, 저녁때는 수난을 기념하는 전례와 십자가 경배 및 영성체의 예절이 진행된다.
▶ 성주간 예절 및 준비
1) 준비 사항
가) 제의방 : 붉은 색 제의, 십자가, 촛대(2), 복사(3), 방석, 수난 복음 및 봉독자(3), 어깨보
나) 주수상 : 성체포, 제대보, 책틀, 물, 성작 수건
2) 입당 및 말씀 전례
가) 사제는 입당한 후, 잠시 제대 앞에 엎드린다.
나) 말씀 전례는 주님 수난 성지 주일과 동일하다.
3) 십자가 경배와 영성체
가) 사제가 “보라, 십자나무…”를 노래한 다음, 신자들이 십자가에 경배할 수 있도록 한다.
나) 사제는 임시 제단(감실)에서 성체를 모셔 온다. 그리고 기도 후 교우들에게 성체를 영해 준다. 그리고 예절이 끝나면 다시 제단을 벗긴다.
▶ [가톨릭] 주님 수난 성금요일 , 십자가 경배
[가톨릭] 주님 수난 성금요일 , 십자가 경배
목차 사진 출처: 천주교 목3동 성당 ▶ 영상보기 [ 2024년 주님 수난 성금요일 예식 (20:00) ] [홍] 주님 수난 성금요일 예수님의 수난을 묵상하는 주님 수난 성금요일에는 성찬 전례를 거행하지 않고
life.mninfo777.com
▶ 영상보기 [ 2024년 주님 수난 성금요일 예식 (20:00) ]
파스카 성삼일 : 성 토요일 - 부활 성야(復活聖夜)
성 토요일에 교회는 주님의 무덤 옆에 머물러 주님의 수난과 죽음, 저승에 가심을 묵상한다. 그리고 기도와 단식을 하며 주님의 부활을 기다린다. 이날은 노자 성체(죽을 위험이 있는 신자가 마지막으로 모시는 성체)만 모실 수 있다. 교회는 고해성사와 병자 도유를 제외하고 모든 성사를 거행하지 않는다.
성 토요일밤은 부활 성야(復活聖夜)라고 한다. 이 시간은 주님의 죽으심을 기억하고 기다리는 밤이다(출애 12,42). 이날 전례는 먼저 빛의 예식이 거행된다. 이때 신자들은 ‘손에 등불을 밝히고 주인이 돌아올 때 깨어 있는 종’처럼 주님을 기다린다(루가 12,35).
부활 찬송(復活讚頌)은 부활초의 장엄 예절이 끝난 후, 모두가 촛불을 켜든 채 서 있을 때, 부제나 사제가 “용약하라…”로 시작한다. 이는 구세사의 절정에 이른 하느님 빛의 영광 안에 기뻐함을 노래한다. 그러기에 부활 찬송은 부활 성야 전례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하느님께서 태초부터 당신 백성에게 행하신 신비를 묵상한다. 그리고 부활 날이 오면 세례로 다시 태어난 지체들과 함께 주님의 죽으심과 부활로 마련된 주님의 만찬에 참석할 때까지 충실히 살기를 다짐한다.
▶ 성주간 예절 및 준비
1) 준비
가) 제의방 : 흰색 제의, 촛대(2), 성수 그릇과 채, 향로, 복사(5)
나) 주수상 : 미사 도구 일체와 종
다) 불 축성 장소 : 부활초, 화로와 숯, 향덩이, 연필, 초심지, 플래시, 집게, 사제용 초
라) 제단 : 부활 찬송대, 부활 촛대, 항아리(성수용 물), 소금
2) 빛의 예식 및 행렬과 부활 찬송
가) 성당 안의 모든 불은 꺼지고, 신자들은 사제를 향한다.
나) 행렬 때, 모든 신자들은 부활초에서 촛불을 댕긴다.
다) 행렬 후 사제나 부제는 부활 촛대에 부활초를 꽂고, 부활 찬송을 시작한다. 만일 평신자가 찬송할 때는 “주께서…”를 생략한다.
3) 말씀 전례
가) 신자들은 촛불을 끄고 앉으며, 성가대는 독서마다 화답송을 노래한다.
나) 대영광송을 시작할 때는 종과 오르간을 친다. 그리고 제단에 촛불을 켜고 성찬 전례를 준비한다.
4) 세례식
가) 세례자도, 세례수 축성도 없을 때는 호칭 기도를 생략하고 즉시 성수 축성에 들어간다. 그리고 세례 서원 갱신식 때는 모든 이가 촛불을 켠다.
나) 갱신식이 끝나면, 사제는 성수를 뿌린다. 이때 신경은 생략되며, 보편 지향 기도가 시작된다.
5) 미사 후에 “주님과 함께 가서… 알렐루야” 하면, 신자들도 “하느님 감사합니다. 알렐루야” 한다.
▶ 영상보기 [ 2024.03.30 - [천주교] - [가톨릭] 파스카 성야란, 부활 성야 미사 ]
[가톨릭] 파스카 성야란, 부활 성야 미사
목차 부활성야, 파스카 성야란 ? 성토요일 밤에 다시 살아나신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를 경축하는 밤을 가리킨다. 예식은 주님의 부활과 입문 성사와 연관된다. 부활 성야는 절대적으로 밤에
life.mninfo777.com
출처: 가톨릭 굿뉴스 , 한국 천주교중앙협의회
가톨릭 기도문 더보기
[가톨릭] 2024 가톨릭 전례력 (다운로드), 사순시기, 부활시기, 연중시기, 대림시기, 성탄시기
[가톨릭] 2024 가톨릭 전례력 (다운로드), 사순시기, 부활시기, 연중시기, 대림시기, 성탄시기
목차 출처: 가톨릭 굿뉴스 [ 2024 가톨릭 전례력 다운로드] 가톨릭 전례력이란 전례력(Calendarium Liturgicum)은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하는 달력으로 그리스도 구원 사업을 기념하는 축일들을 수록한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십자가의 길 기도문, 기도하는 방법
[가톨릭기도문] 십자가의 길 기도문, 기도하는 방법
[기도문 다운로드] 십자가의 길 기도문 (아무 때나 바칠 수 있지만 특별히 사순시기 금요일과 성금요일에는 마땅히 바쳐야 한다.) (먼저 깊이 뉘우치고 아래의 기도를 바친다.) ╋ 주 예수님, ◎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고백기도, 통회의 기도, 고해성사 보는방법
[가톨릭기도문] 고백기도, 통회의 기도, 고해성사 보는방법
[기도문 & 고해성사순서 다운로드] 고해성사의 순서 고해성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고해성사를 받기 전 준비 성찰 : 무엇을 잘못했는지 살펴 알아내고 통회 : 알아낸 죄를 진심으로
life.mninfo777.com
[가톨릭교리] 죄( 罪 )의 정의, 종류, 칠죄종, 십계명
[가톨릭교리] 죄( 罪 )의 정의, 종류, 칠죄종, 십계명
죄( 罪 )의 정의 죄란 생각과 말과 행동으로 나쁜 줄 알면서도 자유 의지로 하느님의 계명을 거스르고, 해야 할 의무를 소홀히 함을 말한다. 이는 하느님의 질서를 파괴하고 인간을 육체적 감각
life.mninfo777.com
[가톨릭] 고해성사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과 답 (FAQ)
[가톨릭] 고해성사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과 답 (FAQ)
목차 [교회법해설] 고해성사(1) 고해성사의 거행 ■ 고해성사는 무엇인가요? “고해성사 중에 합법적인 집전자에게 죄를 고백하면서 그 죄를 통회하고 자기를 바로잡겠다는 결심을 하는 신자들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가정을 위한 기도 1, 2 (2종류)
출처: 굿뉴스 갤러리 [기도문 다운로드] 가정을 위한 기도 1 ○ 마리아와 요셉에게 순종하시며 가정생활을 거룩하게 하신 예수님, 저희 가정을 거룩하게 하시고 저희가 성가정을 본받아 주님의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레지오 마리애 기도문 (시작, 까테나, 마침, 프랭크더프기도문), 회합순서
[가톨릭기도문] 레지오 마리애 기도문 (시작, 까테나, 마침, 프랭크더프기도문), 회합순서
[기도문 다운로드] 레지오 마리애 기도문 레지오 마리애 뗏세라 (시작기도)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 아멘 오소서 성령님. 저희 마음을 성령으로 가득 채우시어 저희 안에 사랑의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위령기도( 짧은연도)
[기도문 다운로드] ╋ 지극히 어지신 하느님 아버지, 저희는 그리스도를 믿으며 살다가 이 세상을 떠난 모든 이가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하리라 믿으며 (연령)을 아버지 손에 맡겨드리나이다. ○
life.mninfo777.com
[가톨릭 기도문] 병자를 위한 기도문, 병자들의 수호성인께 청하는 9일기도
[가톨릭 기도문] 병자를 위한 기도문, 병자들의 수호성인께 청하는 9일기도
기도문(2개) 다운로드 + 병자를 위한 기도문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느님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앓는 사람에게 강복하시고 갖가지 은혜로 지켜주시니 주님께 애원하는 저희 기도를 들으시어 ( )
life.mninfo777.com
[가톨릭기도문] 성 요셉 성월 기도 (3월) / 성 요셉께 드리는 호소 / 화살기도 다운로드
[가톨릭기도문] 성 요셉 성월 기도 (3월) / 성 요셉께 드리는 호소 / 화살기도 다운로드
사진출처: 가톨릭 굿뉴스 자료실 성 요셉 성월 기도 (3월) (성 요셉에게 바치는 기도) ○ 우리 주 예수님을 기르신 아버지시요 정결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이시며 임종하는 이의 수호자이신 성
life.mninfo777.com
'천주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톨릭] 주님 수난 성금요일 , 십자가 경배 (0) | 2024.03.29 |
---|---|
[가톨릭기도문] 주님만찬 성목요일, 수난감실 성체조배 기도문 (1) | 2024.03.29 |
[가톨릭기도문] 성시간 예식서, 성 토마스의 성체 찬미가 (0) | 2024.03.01 |
[가톨릭] 2024 가톨릭 전례력 (다운로드), 사순시기, 부활시기, 연중시기, 대림시기, 성탄시기 (0) | 2024.02.28 |
[가톨릭기도문] 십자가의 길 기도문, 기도하는 방법 (0)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