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사진출처: 서울대교구 페이스북 고해성사, 고백성사란 칠성사(七聖事)의 하나. 공용어위원회가 종래의 용어 고해성사(告解聖事)를 고백성사로 바꾸었으나 다수 학자들은 오히려 성사를 통하여 죄의 용서를 받고 하느님 및 교회와 화해한다는 의미를 지닌 '고해성사'라는 말이 더욱 적절한 것으로 본다. 성세성사를 받은 신자로 하여금 성세받은 이후에 지은 죄에 대하여 하느님께 그 용서를 받으며 교회와 화해하도록 해 주는 성사. 인류를 교회로 불러 모아 구원하고자 하시는 하느님의 뜻에 따라 인간은 성세성사를 통하여 원죄와 자신이 지은 죄(본죄)의 사함을 받고 교회안에 하느님의 자녀로 탄생한다. 그러나 성세를 받은 신자에게도 악으로 이끌리는 경향은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다시 범죄하게 된다. 이런 사정을 잘..

목차 [교회법해설] 고해성사(1) 고해성사의 거행 ■ 고해성사는 무엇인가요? “고해성사 중에 합법적인 집전자에게 죄를 고백하면서 그 죄를 통회하고 자기를 바로잡겠다는 결심을 하는 신자들은 하느님으로부터 그 집전자가 베푸는 사죄를 통하여 세례 후 범한 죄의 용서를 받고 동시에 범죄로 손상을 입힌 교회와 화해한다.”(교회법 제959조) ⇒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많은 이들의 죄를 사해주시며, 그들을 하느님의 나라로 인도하셨습니다. 교회 역시 주님이 제정하신 고해성사를 통해, 세상 속에서 살면서 죄를 지음으로 은총을 잃은 신자들이 다시 은총의 지위를 회복하도록 해줍니다. ■ 고해성사가 맞나요, 고백성사가 맞나요? ⇒ 지금까지 참회의 성사, 회개의 성사, 고백의 성사, 용서의 성사, 화해의 성사 등 다양..

[기도문 & 고해성사순서 다운로드] 고해성사의 순서 고해성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고해성사를 받기 전 준비성찰 : 무엇을 잘못했는지 살펴 알아내고 통회 : 알아낸 죄를 진심으로 뉘우치고정회 : 다시는 죄를 범하지 않겠다고 굳게 결심. (고백기도와 통회의 기도를 바침 ) 고해와 보속고해: 알아낸 죄를 겸손한 마음으로 숨김없이 고백하고보속: 죄의 용서를 위해 사제가 일러주는 보속(지은죄에 대한 보상이나 대가를 치르는 것)을 행합니다. 고해소 밖에서 고해 전/ 후 고백기도 전능하신 하느님과 형제들에게 고백하오니생각과 말과 행위로 죄를 많이 지었으며자주 의무를 소홀히 하였나이다. 제 탓이요 제 탓이요 저의 큰 탓이옵니다.그러므로 간절히 바라오니평생 동정이신 성모 마리아..